좋은 아침입니다.
web3 연구원의 mitsui입니다.
오늘은 '룬즈 심층해부' 후편입니다. 전편에서는 역사부터 그 개요를 설명해드렸는데요, 후편에서는 '대표적인 프로젝트', '주변 생태계', '전망과 고찰'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두 편을 꼭 함께 보시기 바랍니다!
🏆 대표 프로젝트
🗺 주변 생태계(Explorer, Marketplace, Wallet, Launchpad 등)
💬Runes는 붐인가, 혁명인가?
대표 프로젝트
먼저 '룬즈'의 설명에 나오는 유명한 프로젝트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참고로, 선정된 프로젝트는 필자의 독단과 편견에 의한 것입니다.
1、런스톤
비트코인 오디널스를 초창기부터 다루고 있으며, 오디널스를 3개 이상 보유한 사람에게 무료로 배포한 오디널스(NFT) 프로젝트로, 2024년 3월 3일레오니다스라는 오디널스 관련 마켓플레이스를 운영하는 개발자가 설립했습니다. 설립되었습니다. 총 112,383개의 지갑에 배포된 세계 최대 규모의 에어드랍으로 9만 명 이상의 홀더를 보유하고 있다. 무료로 에어드랍됐지만 단 며칠 만에 가격이 급등해 현재 0.02298BTC의 시세로 거래되고 있다.
Runestone 자체는 Ordinals의 NFT이지만,Leonidas는 이 홀더들에게 3 개의 Runes 토큰을 배포할 계획을 발표했으며, 첫 번째 $DOG 토큰은 이번 달 안에 배포될 예정이어서 더욱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2、RSIC
RSIC 메타프로토콜은 지난 1월 21,000개의 오디널을 오디널 수집가들의 지갑에 에어드랍해 화제를 모은 바 있으며, RSIC는 비트코인 채굴기의 일종인 ASIC라는 용어에서 따온 것이다. 향후 $RUNE이라는 토큰 발행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Keep reading with a 7-day free trial
Subscribe to web3 Research KOREA to keep reading this post and get 7 days of free access to the full post archives.